2025년부터 대한민국에서는 미혼 남녀도 가임력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지원이 시작됩니다. 2025년 가임력 검사비 지원 프로그램의 신청방법, 지원금액, 검사종류 등 자세하게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가임력 검사란
가임력 검사는 개인의 생식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이러한 검사를 통해 개인의 가임력 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2. 지원 대상 및 지원 횟수
지원 대상
-결혼 여부 및 자녀 수 무관
-15-19세 남녀 중 부부(예비부부, 사실혼 포함)지원 가능
-내국인 배우자가 있는 외국인 지원 가능(비자 조건 없음)
지원 횟수
연령대별 주기로 1회, 생애 최대 3회까지 가임력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제 1주기 | 만 20~29세 이하 |
제 2주기 | 만 30~34세 이하 |
제 3주기 | 만 35~49세 이하 |
3. 검사 항목과 지원 금액
가임력 검사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 난소 기능 검사(AMH), 부인과 초음파 검사 등이 있으며, 남성의 경우 정액 검사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검사를 통해 개인의 생식 건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가임력 검사에 대한 재정 지원은 여성에게는 130,000원이 지원되며, 남성에게는 50,000원이 지원됩니다.
대상 | 지원 항목 | 지원 금액 |
여성 | 난소 기능 검사(AMH) 부인과 초음파 검사 |
최대 13만원 |
남성 | 정액검사(정자정밀형태검사) | 최대 5만원 |
5. 신청 방법
가임력 검사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e보건소 온라인 신청 또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를 방문하여 신청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e보건소 온라인 신청 또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를 방문하여 신청
2.보건소 담장자의 지원 결정 후 검사의뢰서 발급(e보건소에서 확인가능)
3.신청일로부터 3개월 이내 사업 참여 의료기관에서 검사 및 결과상담
4.검사일로부터 1개월 이내 e보건소 온라인 청구 또는 보건소 방문 청구
*청구일로부터 3개월이내 지급
자주 묻는 질문 FAQ
검사 후에도 신청해도 되나요?
아니요. 먼저 신청 및 검사의뢰서 발급 후에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단 검사 당일 신청 시 예외
본인부담액이 있나요?
지원 금액 한도(여성 13만원, 남성 5만원)를 넘는 금액은 본인 부담입니다. 먼저 진료비를 납부하고, 추후 보건소애 청구해야 합니다.
가임력 검사비 지원 받은 후 난임부부시술비지원도 받을 수 있나요?
네 난임부부시술비 지원과 무관히 가임력 확인 목적의 검사를 실시한 경우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이미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으로 지원 받은 검사는 지원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
모든 국민의 건강,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입니다.
www.mohw.go.kr
가임력 검사 지원 프로그램은 건강한 미래를 계획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보건복지부의 공식 웹사이트 또는 보건복지상담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